본문 바로가기

IT_정보보안/침해대응 & CERT 프로젝트2

24. 침해대응&CERT (2) : Google Hacking CERT는 보안 관제와 업무 성향이 다르게 비교적 적극적, 생산적, 활동적이다. 관제 쪽에서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침해 사고로 발생되는 것들이 확인되었을 때, CERT는 최대한 빠르게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사고의 규모가 커지지 않도록 대응해야 한다. 앞으로 진행할 침해대응&CERT 프로젝트는 실제로 노출되어 있는 환경을 기반으로 취약점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것이다. 구글 해킹(Google Hacking) - 개념 구글링(Googling)을 통해서 특정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기법을 의미한다. 구글은 검색 엔진들이라고 불리는 네이버와 네이트와 같은 것들과는 다르게 키워드를 통해 우리가 원하고자 하는 내용들을 좀 더 상세하게 제공해 준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에서 사용되는 구성, 소스 코드, 민감한 정.. 2024. 5. 27.
23. 침해대응&CERT (1) : 개념과 실무 보안 관제라는 대표적인 직무뿐만 아니라 CERT라고 불리는 직무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는 보안 관제, CERT, 취약점 진단, 모의 해킹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CERT는 보안관제처럼 신입을 채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오늘 글에서 알아볼 업무 절차에는 초기 대응, 대응 전략 체계화 등에 대한 업무들이 존재하며, 해당 업무들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경력이 있어야만 한다. 침해사고대응팀(CERT) - 개념 정의(CERT: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조직이나 기업 내에서 발생하는 컴퓨터 보안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구성된 특수한 팀이나 조직이다. 이러한 팀은 보안 사고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하여 조직의 정보 시스템을 보호하고, 침해로.. 2024.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