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curity41

35. 웹 모의해킹 실습 (2) : CSRF, File Inclusion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개념 사이트 간 요청 위조라는 의미로 사용 자(클라이언트)의 권한을 이용하여, 공격자가 의도한 요청을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내는 공격이다.  즉, 사용자의 신뢰를 받는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요청을 보냄으로써 악성 행위를 실행한다. 보통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상태(세션 쿠키를 유지 중)에서 공격자가 조작한 악성 링크를 클릭하면, 공격자는 사용자의 세션을 이용해 사용자의 권한으로 악의적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링크나 페이지를 클릭하면, 공격자의 악의적 요청이 자동으로 웹사이트로 전송된다. 이때, 요청은 피해자의 세션 정보와 함께 전송되기 때문에 서버는 요청이 피해자로부터 온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요청을 .. 2024. 9. 30.
34. 웹 모의해킹 실습 (1) : DVWA 환경 구성 및 Command injection, Brute Force 모의해킹은 우리가 직접 시나리오를 세우는 과정에서 취약점 진단의 매뉴얼로서 나와 있는 과정들도 당연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밖에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사용했던 기술들과 같이 여러 가지를 복합적으로 응용하여 이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세운다고 할 수 있다.  즉 앞으로의 모의해킹 실습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고민을 하는 과정 또한 최대한 담아내고자 한다.   KALI LINUX(칼리 리눅스)   앞으로 DVWA를 기반으로 모의해킹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서 칼리 리눅스를 활용할 예정이다. 개념 Kali Linux는 모의 해킹을 위한 리눅스 배포판으로, 보안 전문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들이 기본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즉,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바.. 2024. 9. 22.
33. 프록시(Proxy)란? 먼저 해당 글은 Proxy 기능을 가지고 있어 모의해킹을 지원하는 툴을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기 위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록시(Proxy)  개념네트워크에서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또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익명성 제공, 콘텐츠 필터링, 캐싱, 보안 강화 등의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네트워크를 보았을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직접적인 연결 대신 프록시가 중간에 위치하여 프록시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능 익명성 제공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숨기고 프록시 서버의 IP 주소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을 보호하고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캐싱(Caching) : 자주 요청되는 웹 페이지.. 2024. 9. 4.
32. 침해대응&CERT (10) : 웹 취약점 실습_4 오늘 알아볼 취약점 중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XSS) 취약점과 SQL Injection 취약점은 위험도가 높게 판정되는 취약점이면서 실무에서도 중요하게 다룬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XSS) 취약점  정의 공격자가 페이지에 악의적인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해당 페이지를 열람하는 사용자의 권한으로 해당 스크립트가 실행되어  사용자의 세션을 가로채거나, 피싱 공격, 정보 유출 등의 공격을 진행할 수 있는 취약점을 의미한다.일반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웹 사이트에 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고, 해당 스크립트가 포함된 게시글을 열람하는 피해자들의 쿠키가 공격자에게 전송된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피해자의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웹사이트 변조, 악성 콘텐츠 삽입 등의 .. 2024. 8. 21.
31. 침해대응&CERT (9) : 웹 쉘(Web Shell)이란? 전 주차에서 다룬 주제 중 파일 업로드 취약점은 위험도가 높은 웹 취약점 중 하나라고 이야기했다. 특히 웹 쉘을 업로드하여, 관리자의 권환을 탈취함으로써 정보 유출, 2차 감염 등의 추가적인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웹 쉘(Web Shell)에 대한 부분은 좀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웹 쉘(Web Shell)  정의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파일 업로드 취약점, SQL 인젝션 등)을 통해서 원격으로 웹 서버에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성 스크립트 또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서버에 대한 권한을 확보하고, 서버의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특징 원격 관리 및 서버 제어 : 서버에 물리적으로 접속하지 않고도 웹 쉘을 통해 파일을 .. 2024. 8. 11.
30. 침해대응&CERT (8) : 웹 취약점 실습_3 정말 많은 취약점들도 위험도를 따지는 우선순위가 존재한다. 보통 이 위험도를 상, 중, 하로 나누는데, 상으로 선정하는 가장 큰 포인트는 관리자의 권한 등을 탈취하여, 실제로 관리자가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할 수 있을 때, 가장 크리티컬 하다고 이야기한다.  즉, 이러한 관리자 권한 탈취와 같이 무궁무진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관련된 영향이 존재하는 경우, 보통 위험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이다. 그 외에는 발생 빈도, 실제 사고 이력 등을 따져서 그 밖의 위험도를 선정한다고 볼 수 있다. 오늘 다룰 파일 다운로드 취약점, 파일 업로드 취약점, 소스코드 내 중요 정보 노출 취약점, 공개용 웹 게시판 취약점 중에 위험도가 상으로 되어있는 것은 파일 업로드 취약점에 존재한다.  파일 다운로드 취약점도 사실상 .. 2024.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