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28

4. EC2 IP, 배치 그룹, ENI, Hibernate Public(공용) IP vs Private(사설) IP vs Elastic(탄력적) IP 공용 IP인터넷 전역에서 유일하게 식별되는 IP : 두 개 이상의 기기가 같은 공용 IP를 가질 수 없음 :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부여됨 :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와 통신 가능 : SSH 연결도 VPN이 없다면 반드시 공용 IP를 사용해야 함 : SSH 사용시엔 공용 IP 써서 접속하겠지: 왜냐 : 사설 IP는 사설망에 속하는데 현재는 인터넷을 통해서만 AWS에 연결 가능한 상태 : 즉, AWS 사설망에 연결된 상태가 아니기에 그런 것 : 기기를 중지 후 재시작하면 공용 IP가 바뀔 수 있음사설 IP사설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일함 : 회사 내부 네트워크, VPC 내부 통신 등에 사용됨 : 서.. 2025. 8. 29.
3. EC2 기초 EC2 아마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 :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 : IaaS 대표 서비스 : AWS에서 가상 서버를 임대해주는 서비스 사용 : 가상 머신을 EC2에서 임대할 수 있는 것임 : EC2에서 실행 중인 가상 머신(서버 한 대)을 EC2 인스턴스라 함 : AWS EC2의 사용법을 아는 것은 클라우드 작동 방식을 이해할 때 필수적 : 클라우드는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컴퓨팅을 대여할 수 있고 EC2가 바로 그 예시인 것 EC2 인스턴스 핵심 요소OS 선택 가능 : Linux (가장 인기), Windows, macOS컴퓨팅 성능 선택 : vCPU 개수, 메모리(RAM) 용량스토리지 옵션 : EBS, EFS 등..네트워크 옵션 : 공용/사설 IP, 네트워크 카드 속도 선택.. 2025. 8. 26.
2. IAM, AWS CLI, SDK, CloudShell,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의 약자 : IAM에서는 사용자를 생성하고 그룹에 배치할 수 있음 : 사용자(User), 그룹(Group), 권한(Policy) 을 관리하는 서비스 : IAM은 글로벌 서비스라서 특정 리전에 종속되지 않음 : 어떤 사람이 어떤 서비스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지를 정함 우리는 사실 이미 IAM을 사용함 : 계정을 생성할 때 자동으로 루트 계정이 생성됨 : 우리 계정의 루트 사용자가 됨 : 즉, 이 루트 계정도 IAM 체계 안에 포함된 특수한 사용자임 : 그 후에는 루트 계정을 더 이상 사용해서도, 공유해서도 안 됨 : 모든 권한을 가졌기 때문 : 즉, AWS 계정을 설정할 때 제외하고 루트 계정은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사용자가 AWS를 사용.. 2025. 8. 25.
1. AWS 시작하기 Region 데이터 센터가 모여있는 곳 : 즉, 한 Region에서 서비스를 사용하고 다른 Region에서 다시 사용하려면? : 새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음 어떻게 AWS Region을 선택?새 앱을 배포한다고 가정 : 어디에서 해야 할까? : 상황에 따라 다름 : 미국에서 할지, 유럽에서 할지, 한국에서 할지 등 : 이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있음규정 준수 : 때론 정부가 데이터를 해당 국가에 두길 원함 : 앱을 배포하는 국가에 보관하도록 요구 : 한국의 경우 한국 데이터는 한국에 보관해야된다 등 : 따라서 앱은 그 지역에서 실행해야함 : 한국 Region에서 앱을 시작Llatency(지연) : 사용자의 대부분이 미국에 있다? : 사용자와 가까운 미국 지역에서 앱을 배포하는 게 좋음 .. 2025. 8. 23.
6. AWS TechCamp [기본 과정] : Snowflake 데이터를 활용한 AWS 머신러닝 서비스 구축하기 2024년 6월 27일 (목) 2:00 PM – 5:00 PM    Snowflake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비스 탄탄한 데이터 기반을 위한 요구 조건 끊임없는 데이터 사일로 현상 : 사일로는 운영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분석을 위해서는 결국 데이터의 이동을 발생 → 통합된 데이터 : 단일 플랫폼에서 비정형 데이터 포맷, 오픈 포맷, 서드파티 데이터까지 모두 접근  숨은 비용 증가 : 최적화 작업을 위한 여러 가지 수동 작업과 여러 가지 서비스/기능을 통해
숨겨진 비용이 발생 → TCO 절약
: 완전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시간, 노력, 전문 지식만으로 대규모 사용자 대상의 워크로드를 효율적으로 지원  단편적인 정책 : 시스템과 사용자 전반에 걸쳐 일관되지 않은 거버넌스 정책으로 .. 2024. 6. 27.
5. AWS TechCamp [기본 과정] : AWS에서 제안하는 Generative AI Application 모범사례 알아보기 2024년 6월 27일 (목) 9:00 AM – 12:00 PM    빅데이터의 확산에 따라 무한대에 가까운 컴퓨팅 리소스가 생겼으며, 머신러닝 기술도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생성형 AI  생성형 AI는 대화(가이드, 조언), 이야기,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새로운 콘텐츠와 아이디어를 생성한다.즉, 인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혁신을 이끌며,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종합하는 데 사용이 가능하다.방대한 데이터에서 사전 훈련된 대규모 언어 모델에 의해 구동되며, 일반적으로 이를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이라고 정의한다. 머신러닝 → 딥러닝 → 파운데이션 모델로 진화하며, 생성형 AI도 다양하고 복잡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출력을 제공해 준다. 전통적인 머신.. 2024. 6. 27.